지게차 작업계획서 작성 방법 및 안전 수칙 📝🏗️
안녕하세요! 오늘은 산업 현장에서 필수적으로 작성해야 하는 지게차 작업계획서에 대해 알아볼게요. 지게차는 많은 사업장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운반 장비이지만, 매년 1,000건이 넘는 산업재해가 발생하고 있어요. 안전한 작업 환경을 위해 꼭 필요한 작업계획서, 함께 알아볼까요? 🚜💼
지게차 작업계획서란? 🤔
지게차 작업계획서는 지게차의 상태를 점검하고 화물의 상태와 지게차 작동 상태 등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계획서입니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8조에 따라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를 사용하는 작업에서는 반드시 작업계획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
작업계획서가 필요한 이유 ⚠️
지게차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추락, 낙하, 전도, 협착, 붕괴 등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서입니다. 작업계획서 없이 작업하다가 사고가 발생한 사례가 많아요! 예를 들어, 한 근로자가 곡물 확인을 위해 이동 중 운전 레버를 건드려 마스터와 프레임 사이에 끼어 사망한 사고가 있었는데, 이는 작업계획서 없이 작업한 결과였습니다. 😱
작업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
- 기본 정보 ✏️
- 관리번호, 관리부서
- 운전자 성명 및 자격 번호
- 작업지휘자
- 작업 일시 및 장소
- 장비 및 화물 정보 🚚
- 지게차 최대 적재 하중
- 화물의 중량
- 구내 제한속도
- 작업 환경 정보 🌐
- 작업장소 및 운반경로, 거리
- 지형 상태 (경사, 지반, 바닥 단차 등)
- 작업 내용
- 안전 점검 항목 ✅
- 화물의 상태 점검
- 운행경로 상태 점검
- 지게차 작동상태 점검
- 작업자 안전교육 내용
작업계획서 작성 시기 ⏰
- 최초 작업 개시 전
- 작업 방법, 작업장소, 화물 상태, 지게차 운전자 등이 변경되었을 때
작업 전 점검사항 🔍
화물의 상태 확인 📦
- 화물의 중량은 지게차 정격하중 이내인가?
- 화물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는 않는가?
- 인체에 유해·위험한 화물 적재작업 시 교육을 실시했는가?
- 붕괴, 낙하 위험이 있는 화물을 견고하게 묶었는가?
운행경로 상태 확인 🛣️
- 통행로는 안전하게 확보되었는가?
- 통행로에 장해물은 완전히 제거되었는가?
- 지반이 편편하고 견고한 구조로 되어 있는가?
- 갓길의 붕괴 위험은 없는가?
- 지게차 이동경로 주변에 보조자나 다른 작업자가 없는가?
지게차 작동상태 점검 🔧
- 작업 시작 전 지게차를 점검한 결과 문제점이 없는가?
- 월 1회 정기점검을 실시하고, 문제점 발견 시 개선하였는가?
지게차 안전작업 수칙 😊👍
- 지게차 운전자는 회사에서 정한 구내속도를 준수합니다.
- 비포장도로, 좁은 통로, 언덕길 등에서는 급출발, 급브레이크, 급선회 등을 하지 않습니다.
- 지게차는 전방시야가 나쁘므로, 전후좌우를 충분히 관찰해야 합니다.
- 화물적재 상태에서 30cm 이상으로 들어올리거나 마스트를 수직이나 앞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주행하지 않습니다.
- 포크 아래나 포크 등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화물 아래에 사람이 출입하지 않도록 합니다.
- 선회 시에는 후륜이 바깥쪽으로 크게 회전하므로 천천히 선회합니다.
- 포크 또는 파렛트, 스키드, 균형추 등에 사람을 태우고 주행하지 않습니다.
작업 시작 전 점검 💯
관리감독자는 작업 시작 전 다음 사항을 점검해야 합니다:
- 제동장치 및 조종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 바퀴의 이상 유무
- 전조등, 후미등, 방향지시기 및 경보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마무리 🎉
지게차 작업계획서는 단순한 서류 작성이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을 지키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2021년부터는 구내에서만 사용하는 솔리드 타입의 지게차까지 교육 이수 후 사용하도록 법으로 정해졌어요. 작업계획서를 철저히 작성하고 점검하여 안전한 작업 환경을 만들어 보세요! 💪
여러분들의 안전한 작업 환경을 응원합니다! 질문이나 추가 정보가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
'건설업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문건설업 면허 종류 (0) | 2025.03.24 |
---|---|
사업장 산업재해율 확인서 발급 (0) | 2025.03.24 |
낙하물방지망 설치기준 (0) | 2025.03.24 |
유해위험 기계기구 방호조치 (0) | 2025.03.24 |
승강기 안전관리자 교육 (0) | 2025.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