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금 정보

간이통관 신청

by K-dobi 2025. 4. 23.
반응형
반응형

🌏 해외직구한 물건, 간이통관 신청 방법 완벽 가이드! 📦

안녕하세요! 오늘은 해외에서 주문한 물건을 받을 때 꼭 알아야 할 간이통관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해외직구를 자주 하시는 분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니 끝까지 읽어주세요! 😊

✨ 간이통관이란 무엇일까요?

간이통관이란 수입신고보다 간소한 절차로 해외에서 온 우편물을 받을 수 있는 제도랍니다. 미화 150불을 초과하고 1,000불 이하의 자기 사용 물품이나 500만원 이하의 선물이 대상이 됩니다.

💡 중요! 선물은 500만원 초과, 자기 구매는 미화 1,000달러 초과일 경우에는 일반수입신고 대상이므로 간이통관이 불가해요.

📱 간이통관 신청 방법 (모바일)

1️⃣ 알림톡(문자)으로 수신한 링크 클릭

관세청에서 보내는 알림톡이나 문자를 받으셨다면,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아니면 모바일에서 http://m.customs.go.kr에 직접 접속하셔도 돼요!

2️⃣ "우편물 간이통관 신청" 클릭

메인 화면에서 "우편물 간이통관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3️⃣ 필수정보 입력 후 조회

  • 우편물번호 13자리
  • 도착일자(알림톡 받은 날짜)
    입력 후 "조회" 버튼을 눌러주세요.

4️⃣ 간이통관 신청서 작성

  • 물품의 내용을 상세히 적어주세요. 품명, 수량, 중량, 규격 등을 자세히 적을수록 통관이 빨라져요! 📝
  • 결제통화가 USD가 아닌 경우, USD를 먼저 지운 후 돋보기를 클릭하여 통화코드를 입력해주세요.
    • USD: 달러
    • CNY: 위안화
    • JPY: 엔화

5️⃣ 수취사유 입력

개인 사용인지 선물인지 명확하게 기재해주세요!

6️⃣ 수취인 정보 입력

다음 중 하나만 선택해서 입력해주세요:

  • 개인통관고유부호
  • 생년월일
  • 여권번호

7️⃣ 본인인증 후 신청 완료

휴대폰 인증이나 간편인증을 통해 본인 확인 후 제출하면 끝! 🎉
⚠️ 중요: 이 화면에서 제출했다면 간이통관 신청절차는 종료된 거예요. 나중에 등기 안내문을 받더라도 다시 신청할 필요 없어요!

💻 PC로 간이통관 신청하는 방법

1️⃣ 전자통관시스템 접속

관세청 전자통관시스템 (unipass.customs.go.kr)에 접속하세요.

2️⃣ 국제우편물통관 클릭

메인 페이지 우측 하단의 "국제우편물통관" 메뉴를 클릭해주세요.

3️⃣ 본인 인증

휴대폰(실명) 인증을 진행해주세요.

4️⃣ 우편물 정보 입력

우편물번호 또는 통관번호와 반입일자를 입력한 후 조회해주세요.

5️⃣ 간이통관신청서 작성 후 전송

필요한 정보를 모두 작성하고 전송하면 끝! 📤

📧 이메일/팩스로 신청하는 방법

간이통관 신청서를 작성한 후:

으로 보내주세요. 통관번호나 우편물번호는 꼭! 기재해주셔야 합니다.

⏰ 주요 유의사항

1️⃣ 신청 기한

통관안내(등기)를 받은 날로부터 5일 이내에 세관장에게 간이통관 신청서와 자료를 제출해야 해요! 기한 내에 신청하지 않으면 수입신고를 해야 합니다. ⏳

2️⃣ 필수 정보

간이통관 신청서 작성 시 개인통관고유부호(또는 생년월일, 여권번호)와 연락처를 꼭 적어주세요!

3️⃣ FTA 협정관세 적용

FTA협정관세 적용 신청 시 원산지증명 면제대상 물품은 세관이 별도로 요청하지 않는 한 증빙서류 제출이 생략됩니다. 👍

4️⃣ 방문 수령 시 필요 서류

  • 수령가능 시간: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및 토/일/공휴일 수령불가)
  • 본인 방문 시: 본인 신분증 필요
  • 대리인 방문 시: 위임장 및 대리인 신분증 필요

🎁 마치며

간이통관 신청이 어렵게 느껴지셨나요? 사실 한 번만 해보면 그리 어렵지 않답니다! 모바일로 신청하는 것이 가장 편리하고 빠르게 처리되니 참고해주세요. 해외직구 물품, 간이통관으로 빠르게 받아보세요! 💪

질문이나 추가 정보가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세요! 다음에 또 유용한 정보로 찾아올게요~ 😉👋

반응형

'세금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금 입금 자금출처조사  (0) 2025.04.23
통관목록 배제  (1) 2025.04.23
농업외 소득 3700만원 주의사항  (0) 2025.03.28
농업소득 비과세 요건  (0) 2025.03.28
보청기 국가보조금지원  (0) 2025.03.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