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금 정보

농업외 소득 3700만원 주의사항

by K-dobi 2025. 3. 28.
반응형
반응형

🌾 농업외 소득 3700만원, 알고 계세요? 🌾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농사짓는 분들이라면 꼭 알아두셔야 할 '농업외 소득 3700만원' 기준에 대해 알아볼게요! 😊

🤔 농업외 소득 3700만원이 뭐죠?

농업외 소득 3700만원이란, 농사 외에 다른 일로 버는 돈이 연간 3700만원을 넘으면 여러 농업 혜택에서 제외된다는 기준이에요. 이 기준은 2009년에 만들어졌는데요, 당시 2007년 전국 가구 평균소득이 3674만원이었던 것을 참고해서 3700만원으로 정했답니다! 👨‍🌾

📋 어떤 혜택에서 제외되나요?

농업외 소득이 3700만원을 넘으면 다음과 같은 혜택에서 제외됩니다:

  • 기본형 공익직불금 지급 대상 ❌
  • 양도소득세 감면 혜택 ❌
  • 자경농지 인정 ❌
  • 각종 농업 보조사업 지원 대상 ❌

이렇게 많은 혜택이 사라지니 주의해야 해요! 😱

💰 3700만원 소득, 어떻게 계산하나요?

이 부분이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시는 부분인데요! 쉽게 정리해볼게요:

  1. 급여(근로소득)의 경우: 총급여액 기준 3700만원
    • 연말정산 후 소득공제 받은 금액이 아닌 실제 받은 총급여를 기준으로 해요! 👔
  2. 사업소득의 경우: 비용을 뺀 순수 소득금액 기준 3700만원
    • 매출에서 비용을 뺀 실제 이익 금액이 기준이에요! 💼
  3. 포함되지 않는 소득
    • 연금소득, 이자소득은 포함되지 않아요! 👍
    • 농업·임업·부동산임대업에서 발생하는 소득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 농가부업소득도 제외에요!

🚨 문제점과 변화의 바람

이 3700만원 기준은 15년이 넘도록 변하지 않았어요. 그동안 물가는 계속 올랐고, 2021년 전국 가구 평균소득은 6414만원까지 올랐는데요! 😮 농업소득은 계속 정체되는 상황에서 이 기준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많았답니다.

다행히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어요! 2025년부터는:

  • 후계농업경영인 육성자금 농외소득 기준 삭제! 🎉
  • 귀농창업자금 농외소득 기준 삭제! 🎉
  • 공익직불제 농외소득 기준도 상향 예정! (약 4500만원 수준으로 전망) 🎊

🧐 왜 이런 변화가 필요할까요?

요즘은 농사만으로는 생계유지가 어려워 부업이나 겸업을 통해 소득을 높이려는 농민들이 늘고 있어요. 통계를 보면 농업소득보다 농외소득이 많은 2종 겸업농가 비중이 2010년 30.3%에서 최근에는 33.2%로 늘었답니다! 📈

특히 청년들은 다른 부업에 종사하면서 농업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은데, 3700만원 기준으로 이들을 각종 사업에서 배제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이 많아요. 🧑‍🌾👩‍🌾

✅ 이것만은 꼭 기억하세요!

농업 외 소득이 3700만원 이상인 기간은 자경기간에서 제외됩니다! 따라서 양도세 감면 대상에도 해당되지 않으니 주의하세요. 그리고 이 기준은 양도 당시가 아니라 농지를 소유하고 재촌자경 기간을 판단하는 전 기간을 말하는 것이니 참고하세요! 📝

💌 마치며

농업외 소득 3700만원 기준, 이제 어떻게 변화할지 계속 지켜봐야겠죠? 농업과 농촌의 현실을 반영한 합리적인 기준으로 바뀌길 희망해봅니다! 여러분의 농사와 삶에 도움이 되는 정보였길 바라요~ 😄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함께 얘기해봐요! 💕

반응형

'세금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업소득 비과세 요건  (0) 2025.03.28
보청기 국가보조금지원  (0) 2025.03.27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재산기준  (0) 2025.03.27
더 경기패스 신청방법  (0) 2025.03.27
중위소득 150%  (0) 2025.03.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