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업 정보

임시소방시설 간이소화장치

by K-dobi 2025. 4. 1.
반응형
반응형

🚒 임시소방시설, 간이소화장치 알아보기! 🔥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건설현장에서 꼭 필요한 임시소방시설 중 하나인 '간이소화장치'에 대해 알아볼게요. 😊 화재 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으니 함께 중요한 정보 알아봐요!

🤔 간이소화장치, 뭐길래?

간이소화장치는 이름 그대로 '간단하게' 소화할 수 있는 장치인데요. 물을 방사하여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장치로, 공사 현장에서 화재위험작업 시 신속한 초기 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어요! 🚿

소화기로 진압이 안 될 때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소화 능력을 발휘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동식 또는 고정식 형태로 설치할 수 있어 상황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답니다. 👍

⚙️ 간이소화장치의 주요 성능은?

간이소화장치가 제대로 된 역할을 하려면 다음과 같은 성능을 갖춰야 해요:

  • 방수압력: 최소 0.1MPa 이상 유지해야 합니다!
  • 방수량: 최소 65L/min 이상 뿜어낼 수 있어야 해요
  • 수원 확보: 20분 이상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양을 확보해야 합니다
  • 사용 편의성: 넘어질 우려가 없고 사용하기 쉬워야 해요 🙌
  • 표시: '간이소화장치'라는 표시가 잘 보이도록 해야 합니다
  • 동결 방지: 겨울철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동결 방지 장치 필요!

🏗️ 어디에 설치해야 할까요?

간이소화장치는 모든 건설현장에 다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조건에 해당할 때 설치가 필요해요:

📋 설치 대상 공사 현장

  1. 연면적 3천㎡ 이상인 공사 현장 🏢
  2. 지하층, 무창층 또는 4층 이상의 층 (바닥면적이 600㎡ 이상인 경우)
  3. 용접- 용단 등 화재위험작업을 하는 현장

📍 설치 위치

  • 작업 지점으로부터 25m 이내에 설치
  • 작업이 끝날 때까지 계속 설치되어 있어야 해요!

🔧 간이소화장치의 종류는?

소화수를 송수하는 방식에 따라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어요:

  1. 펌프 방식 💪: 펌프의 토출압력을 이용해 물을 뿜어내는 방식
  2. 압력수조 방식 🔄: 콤프레셔로 소화수를 가압하는 방식
  3. 가압수조 방식 💨: 압축공기나 불연성 고압기체로 소화수를 가압하는 방식

🛠️ 간이소화장치 구성품

간이소화장치는 다음과 같은 것들로 구성되어 있어요:

  • 소화장치외함: 보통 가로 300mm x 세로 400mm x 깊이 160mm 정도 📦
  • 소방호스: 직경 25mm, 길이 15m 정도의 호스 🐍
  • 앵글밸브: 25mm용으로 소방호스와 연결하며 높은 수압에 견딜 수 있어요
  • 방사관창: 25mm용으로 직사 및 방사기능 갖춘 알미늄 소재

✨ 간이소화장치의 장점

  1. 경제적이에요! 가격이 비교적 저렴합니다 💰
  2. 부피가 작고 가벼워서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해요 🚶‍♂️
  3. 고정식으로도, 이동식으로도 사용 가능! 상황에 맞게 쓸 수 있어요
  4. 급수원 연결이 쉽고 사용법도 간단해요 👌

🆕 2023년 7월부터 강화된 기준 아세요?

2023년 7월 1일부터 "건설현장의 화재안전성능기준"이 강화되었는데요! 간이소화장치도 성능인증 제품을 사용해야 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2020년 경기도 이천 물류센터 화재 사고를 계기로 만들어진 규정이에요. 😔

건설현장 화재는 최근 5년간 총 3,286건이나 발생했고, 55명이 목숨을 잃고 268명이 부상당했다고 해요. 정말 안타까운 일이죠? 그래서 더욱 철저한 화재 안전 관리가 필요합니다! ⚠️

🔚 마무리

건설현장에서의 화재는 한번 발생하면 엄청난 인명 및 재산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요. 특히 지하화, 고층화된 요즘 건축물은 더욱 화재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간이소화장치를 제대로 설치하고 관리한다면, 화재 발생 시 신속한 초기 대응으로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어요! 🛡️

여러분의 건설현장은 간이소화장치가 제대로 설치되어 있나요? 오늘 한번 확인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

화재 없는 안전한 현장을 위해 오늘도 파이팅입니다! 👋

반응형

'건설업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시설관리사 응시자격  (0) 2025.04.01
기본안전보건대장 대상 공사  (0) 2025.03.28
안전보건조정자 자격 요건  (0) 2025.03.28
설계안전성 검토 대상  (0) 2025.03.28
공사안전보건대장 작성대상  (0) 2025.03.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