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표등록 상품분류 완벽 가이드 - 니스 분류 체계 이해하기 ✨
상표등록을 준비하고 계신가요? 상표를 등록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상품분류를 정확히 선택하는 것입니다. 오늘은 상표등록 시 꼭 알아야 할 상품분류에 대한 모든 것을 알기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상품분류란 무엇인가요? 🤔
상품분류는 상표법에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분류한 코드 시스템입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니스(NICE) 국제분류에 따른 상품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분류 체계는 상표 등록 및 관리를 위해 사용되며,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표준 분류 체계로 알려져 있습니다.
🔍 니스분류는 상품과 서비스를 45개의 클래스로 분류합니다:
- 1부터 34까지의 클래스: 상품에 대한 분류
- 35부터 45까지의 클래스: 서비스에 대한 분류
상품분류의 중요성 💡
상표 등록에 있어 상품분류를 정확히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왜 그럴까요?
1. 상표권 보호 범위 결정 🛡️
상표권의 효력은 상표 등록 시 지정된 상품 및/또는 서비스업에만 효력이 미치기 때문에, 상표출원 시 사용할 상품 및/또는 서비스업을 예상하여 상품류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간혹 상표등록이 되면 모든 상품이나 서비스업에 상표권의 효력이 미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2. 분쟁 예방 ⚠️
적절한 상품분류를 선택하지 않으면 나중에 권리 범위 문제로 분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류만 기재하고 관련 서비스업에 대한 상품류를 기재하지 않아서 상표권으로 충분한 보호를 받지 못하는 낭패를 보는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주요 상품분류 살펴보기 📋
니스 국제분류에 따른 주요 상품류와 각 분류에 속하는 대표적인 상품/서비스를 살펴보겠습니다.
👕 상품류 (1~34류) 예시
- 3류: 화장품, 세면용품, 샴푸 등
- 9류: 전자기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 25류: 의류, 신발, 모자
- 34류: 담배, 라이터
🛒 서비스류 (35~45류) 예시
- 35류: 광고 및 판매 관련 서비스, 도소매업
- 41류: 교육, 스포츠 및 문화 행사 운영
- 42류: 컴퓨터 소프트웨어 개발, 웹사이트 디자인, 기술 연구
- 45류: 법무서비스업, 이성 소개업, 온라인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업
주요 상품류 상세 설명 🔎
📱 제9류 - 소프트웨어 및 전자기기
소프트웨어 개발자나 IT 기업이라면 제9류를 주목해야 합니다. 제9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등을 포함하는 상품분류코드입니다. 앱을 출시하거나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필수적으로 등록해야 하는 분류입니다.
소프트웨어에 대한 상표(9류)가 등록되었다면, 해당 앱/서비스/플랫폼이 실질적으로 하고자 하는 서비스업에 대한 상표도 함께 등록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제3류 - 화장품 및 세면용품
화장품 브랜드라면 제3류 등록이 필수입니다. 제3류에 속한 상품으로는 화장품, 세면용품, 샴푸, 물티슈 등이 있습니다.
제3류의 주요 항목:
- 화장품 및 스킨케어 제품 ✨
- 화장품, 스킨로션, 스킨 클렌징 크림, 선크림, 마스크팩
- 메이크업 화장품, 파운데이션, 립스틱
- 헤어 제품 💆
- 샴푸, 린스, 헤어 에센스, 헤어 트리트먼트, 모발 염색제
- 세정용품 🧼
- 세면용품, 스킨비누, 손 세정제, 바디워시
- 세탁용 세제, 주방용 세제, 표백제
- 물티슈, 스킨클렌저 함유 천
🛍️ 제35류 - 도소매업 및 광고업
35류는 대표적으로 도소매업과 관련한 상품이 속하여 있습니다. 이 경우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소매업종 명칭을 구체적으로 기재하는 것이 좋습니다.
35류에 속하는 주요 업종:
- 도소매업 🏪
- 화장품 소매업, 의류 소매업, 육류 가공식품 소매업 등
- 쇼핑몰 🛒
- 인터넷 종합쇼핑몰업, 전기통신에 의한 통신판매중개업
- 해외직구 관련: 수출입업무대행업
상품분류 코드 찾는 방법 🔍
상품 또는 서비스업에 대한 류에 대한 구분을 모르는 경우, 특허청 홈페이지에서 상품분류코드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특허청 홈페이지에서 찾고자 하는 상품명(예: '소프트웨어')을 검색하면, '상품류에 대한 숫자', '명칭' 및 '유사군' 코드가 출력됩니다.
🌐 특허청 상품분류 코드 검색 사이트: www.kipo.go.kr
상표등록 상품분류 전략 📝
1. 현재와 미래 사업 영역 고려하기 🔮
현재 사용 중인 상품/서비스뿐만 아니라, 향후 확장 가능성이 있는 영역도 함께 고려하여 상품분류를 선택하세요. 사업 계획을 고려하여 적절한 분류를 선택하면 나중에 추가 등록할 필요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관련 서비스업도 함께 등록하기 📊
상품뿐만 아니라 관련 서비스업도 함께 등록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화장품 브랜드의 경우:
- 제3류(화장품) - 필수
- 제35류(화장품 소매업) - 판매도 직접 하는 경우
- 제44류(미용업) - 미용서비스 제공 시
3. 유사한 사업자의 상표권 참고하기 👀
타겟으로 삼은 경쟁사의 상표권을 검색하여 참고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경쟁사가 어떤 상품분류와 지정상품을 선택했는지 살펴보고 참고하세요.
마무리 ✅
상표등록 시 상품분류를 정확하게 선택하는 것은 상표권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여러분의 비즈니스 특성과 미래 계획을 고려하여 적절한 상품분류를 선택하세요. 확실하지 않다면 상표 전문가인 변리사의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상표와 관련된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질문해 주세요! 여러분의 브랜드가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
블로그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또 만나요! 👋
'기업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벤처기업 등록요건 (0) | 2025.05.09 |
---|---|
고용산재 보수총액 신고 (0) | 2025.05.02 |
운용리스 금융리스 차이 (0) | 2025.05.02 |
감자차익 회계처리 방법 (0) | 2025.05.02 |
원산지증명서 상공회의소 (0) | 2025.05.02 |
댓글